이주노동자, 그 사람 같지 않은 노동자들
서민식 (서구당원, 대전이주노동자연대 대표)
왜 이주노동자라고 하느냐... 국적, 성별, 피부색 등과 상관없이 다른 곳에서 옮겨온 노동자라는 뜻입니다. 외국인노동자라고 하면, 하긴 노동자라는 말도 잘 쓰지 않지만, 방송을 보면 외국인근로자 이딴 식으로 말하던데, 하여간, 외국인이라 하면 다른 나라라는 국적을 미리 규정하는 거 아닙니까? 노동자는 하나인데, 전 세계 노동자가 하나인데 국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.
이주노동자들 대부분이 휴일 없이 일을 합니다. 요즘은 워낙 경기가 좋지 않은 탓에 일거리가 없어 일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. 그렇지만 불과 일이 년 전만 하더라도 한 달에 이틀을 쉬지 않는 이주노동자들이 많았습니다. 그렇게 강도 높은 노동을 합니다. 토요일이나 연휴, 이런 거 거의 없습니다.
숙소가 좋을 리 있겠습니까? 눈 뜨고 씻고 나가서 밤에 들어와 씻고 자는 곳인데... 컨테이너 박스에서 지내는 동무들도 많습니다. 맞습니다. 건설 현장에 가보면 한국 노동자들도 그렇게 지냅니다. 그렇지만 그들은 삼 년, 오 년을 내내 그렇게 지내지 않습니다. 그러니 그렇게 비교하시면 안 됩니다.
저임금 맞습니다. 물론 한 달에 백만 원은 넘게 받습니다. 임금 부분도 마찬가지인데, 어떤 이주노동자가 백오십만 원을 받는다고 하면 그 동무는 한국 노동자들 이백만 원 받는 것보다 더 많은 일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. 예, 일면 당연합니다. 같은 돈 주고 같은 일 시키려면 이주노동자를 쓰겠습니까? 한국 노동자들끼리도 같은 일을 시키면서 돈을 절반밖에 주지 않는데.
그들도 사람입니다. 우리와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.
'기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8호) 당원들의 신년바람 (0) | 2010.12.15 |
---|---|
(8호) '요이~땅!' 식 버스개편으로 거리를 헤매는 시민들 (0) | 2010.12.15 |
(5호) 자치, 스스로 만드는 희망의 길목에서 [민들레 의료생협]을 만나다 (0) | 2010.12.08 |
(5호) 부자감세와 민생폭탄 (0) | 2010.12.08 |
(5호) ....ing 의 장애인투쟁 (0) | 2010.12.07 |